상담사 이우 2019. 4. 22. 23:13

[포인트]심리상담에서의 심리검사에 대한 출제비중은 낮다. 이상심리나 임상심리에서 주로 심리검사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기출문제 정도만 파악하고 있으면 될 것 같다. 주로 심리검사해석이나 검사선택시 전문가의 윤리와 관련된 내용이다.


기출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산업장면에서 검사선택 시 고려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009. 5)

    선발이나 승진 등의 의사결정 시에는 준거타당도를 검증한다.

    검사의 선택은 후보가 될 만한 검사들을 폭넓게 찾아내고 검토한 후 이루어져야 한다.

    직무수행의 속성이 다차원적일 때는 복수 검사보다는 단일 검사를 선택한다.

    검사의 선택은 그 사용목적에 잘 부합하여야 한다.


2. 검사결과 해석시 주의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16+. 3)

    검사해석의 첫 단계는 검사 매뉴얼을 알고 이해하는 것이다.

    내담자가 받은 검사의 목적과 제한점 및 장점을 검토해 본다.

    결과에 대한 구체적 예언보다는 오히려 가능성의 관점에서 제시되어야 한다.

    검사결과로 나타난 장점이 주로 강조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