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사2급(필기)/심리상담

[심리상담 주요이론]게슈탈트 상담

상담사 이우 2019. 5. 26. 11:40

기출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접촉, 지금-여기, 자각과 책임감 등을 중시하는 치료이론은?(2016.8)

    인간중심적 치료          게슈탈트 치료

    정신분석                    실존치료

 

2. 현재 상황에서의 욕구와 체험하는 감정의 자각을 가장 중요시 하는 상담 유형은?(2014.8)

    인간중심 상담             태주의 상담

    교류분석적 상담          현실치료 상담

 

3. 다음 중 게슈탈트 심리치료에서 강조하는 것이 아닌 것은?(2018.3, 2012.5, 2009.5)

    지금-여기

    내담자의 억압된 감정에 대한 해석

    미해결 과제 또는 회피

    환경과의 접촉

4. 게슈탈트 심리치료에서 알아차림-접촉주기 단계의 진행순서로 옳은 것은?(2016.3, 2013.8)

    배경 알아차림 감각 에너지 동원 행동 접촉 배경

    배경 에너지 동원 감각 알아차림 접촉 행동 배경

    배경 감각 알아차림 에너지 동원 행동 접촉 배경

    배경 감각 알아차림 행동 에너지 동원 접촉 배경

 

5. 게슈탈트 상담기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3, 2014.8)

    신체자각           환경자각

    행동자각           언어자각

 

6. 형태치료(게슈탈트 치료)에서 접촉경계 혼란을 일으키는 여러 가지 심리적 현상 중 사람들이 감당하기 힘든 내적 갈등이나 환경적 자극에 노출될 때 이러한 경험으로부터 압도당하지 않기 위해 자신의 감각을 둔화시킴으로써 자신 및 환경과의 접촉을 약화시키는 것은?(2016.3)

    내사(introjection)        반전(retroflection)

    융합(confluence)        편향(deflection)

 

7. 게슈탈트 상담에 대한 중요한 비판점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6.8)

    성격의 인지적 측면을 무시한다.

    내담자의 삶을 무시하거나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

    자신들의 사고를 강요할 수도 있다.

    내담자가 심리적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많다.

 

94. 게슈탈트 심리치료에서 강조하는 것이 아닌 것은?(2009.5)

    지금-여기

    내담자의 억압된 감정에 대한 해석

    미해결 과제와 회피

    환경과의 접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