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심화학습

[직업상담실무] 직업상담에서 질적 평가 방법의 활용

상담사 이우 2011. 11. 10. 19:00

[직업상담실무] 직업상담에서 질적 평가 방법의 활용


○ 직업상담에서는 주로 흥미검사, 적성검사, 지능검사 등을 통해 개인이 가진 최대수행능력을 평가하거나 전형적인 행동패턴을 파악하는 정량적 ․ 객관적 측정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객관적인 검사라 하더라도 상황적 요소가 많이 개입되거나 인간 행동의 복잡성과 다변성으로 인해 제대로 측정할 수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객관적인 심리측정 방법을 보완할 수 있는 질적 측정방법(qualitative assessment)이 대두하게 되었다.

○ 질적 측정방법의 장점

직업선택과 관련된 내담자의 특성을 내담자의 자기평가 및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측정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환경적 변인을 고려한 상담자와의 상호작용이 강조되는 측정방법이다. 이는 객관적 검사를 사용하는 직업상담은 내담자의 특성에 맞는 직업을 발견하는데 주안점을 두는 한계를 벗어나 내담자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


○ 질적 측정방법의 활용 

① 자기효능감 측정(Self-Efficacy Measurement): 자기효능감 측정은 어떤 수준의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자신의 판단을 의미하며, 측정방법은 먼저 개인이 수행할 수 있는 과제수준을 규명하고 내담자에게 그 과제의 난이도와 자신이 그 과제를 잘 수행할 수있다고 생각하는 확신도를 말하게 한 다음 관련된 상황에서 개인의 수행수준을 추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담자가 내담자의 직업대안에 관하여 그 직업수행의 난이도를 10점 척도를 기준으로 어느 정도로 인식하고 있는지 평가하게 한다.

② 역할극(Role Playing): 역할극은 실제 상황을 설정하여 행동을 해보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내담자가 자신이 최종면접시험에서 실패한 사실을 이야기하면 상담자는 전반적인 상황에 대하여 이해한 후 상담자가 면접관의 역할을 하고 내담자는 응사자의 역할을 하게 한다. 그리고 내담자를 관찰하고 기록한 후 그 결과를 가지고 서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③ 카드분류기법(Cards Sorts): 가치관, 흥미, 직업기술, 생활양식선호도 등과 같은 다양한 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이다. 특정내용을 가진 카드를 3점이나 5점 척도 수준에서 분류하여 그렇게 한 이유를 상담자와 논의하는 것이다.

④ 직업가계도(Genogram): 원래 가족치료를 위해 사용되어온 방법으로 직업상담영역에서는 내담자의 직업관련 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족의 직업계보를 그래픽으로 보여주는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주로 직업적 자각에 영향을 끼친 모델을 찾거나 직업인으로서의 자기지각의 원인을 발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