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코칭을 하나의 학문으로 나아가게 하기 위하여 코칭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들을 종합하여 분류하고 정리한 것으로 코칭을 학문으로 정립하기 위한 기초적 작업으로 이 책을 서술하게 되었다고 한다. 지금까지 다양하게 출판된 코칭 관련 자료와 코칭에 대한 철학, 윤리, 기법 등을 살펴볼 수 있어 도움이 된다.
코칭(Coaching)은 개인의 자아실현을 지원(support)하는 시스템으로서, 외부로부터 문제해결에 대한 도움을 받기보다는 자신의 내부에 잠재되어 있는 강점을 발견하고 성장시켜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역량을 키워준다. 또한, 상상력과 잠재력을 현실세계 밖으로 끌어내어 목표와 비전을 완성케 한다.
코칭의 원리
① I: 상호작용(interaction)의 원리
코칭은 코치와 코치이 간의 상호작용이다. 그러므로 코치와 코치이 간에 신뢰와 파트너십이 있어야 한다.
② M: 동기부여(motivation)의 원리
코치이가 더 잘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코치의 윤리적 특성이기도 하다.
③ P: 열정(passion)의 원리
코치는 코치이에게 비전을 함께 설계하며 역동적으로 실행하도록 열정을 불어넣는다.
④ A: 자기인식(awakening)의 원리
코칭을 통해 코치이는 자기의 성격적 특성과 재능 그리고 패턴과 주변으로부터 돌아오는 패턴을 인식하게 되고 사회적 역할과 더불어 자신의 철학과 삶에 대한 차원을 상승시킨다.
⑤ C: 일관성(consistency)의 원리
코칭은 코치이의 가치관을 명료하게 하며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코치이에게 삶의 주도성을 갖게 한다. 코치이는 자신의 가치 구현을 일관성을 갖고 진행한다.
⑥ T: 목표지향(target-driven)의 원리
코칭은 코치이에게 미래를 위한 목표 설정을 지원한다. 코칭의 원리 중 가장 중요하고 윤리적인 것은 코치이의 목표이다.
또한 비즈니스 코칭에서의 원리는
① 답을 주기보다는 스스로 답을 찾도록 지원한다.
② 발상 전환을 하도록 지원한다.
③ 상대의 장점을 발견하여 긍정적으로 사용하도록 지원하다.
④ 막힐 때는 제삼의 방법을 찾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