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MPI의 임상척도 중 자신의 신체적 기능 및 건강에 대하여 과도하고 범적인 관심을 갖는 건강염려증적인 양상을 측정하는 척도는?(2010.5)
❶ 심기증 척도(Hs) ② 우울증 척도(D)
③ 히스테리 척도(Hy) ④ 편집증 척도(Pa)
2. 다음은 MMPI-2검사의 임상척도 중 무슨 척도에 해당되는가?(2014.8)
- 반사회적 일탈행동, 가정 내 갈등, 적대감 등의 지표이다. - 가장 많은 사회적 일탈행동은 거짓말, 알코올중독, 마약남용, 성적 부도덕 등이 있다. - 이 척도가 아주 높은 사람은 수용시설에 수용하는 방법 이외에는 대안이 없다. |
① Hs ② D ③ Hy ❹ Pd
3. MMPI-2에서 5번 척도가 높은 여대생의 경우에 가능한 해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6.3, 2010.5)
① 성격적으로 수동-공격적인 특성이 있다.
❷ 반드시 남성적인 흥미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③ 자신감이 부족하고 충동적이다.
④ 심미적이고 예술적인 취미를 가지며 지능이 우수하다.
4. MMPI 임상척도 중 점수가 지나치게 하강하는 경우도 점수가 상승하는 것과 같은 의미로 해석하기도 하는 척도는?(2011.6)
① 척도 2 ② 척도 4
❸ 척도 6 ④ 척도 8
5. MMPI 8~9 척도가 70T 이상으로 상승한 사람들에 대한 진단적 해석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0.5)
① 대인관계에서 의심과 불신감이 많아서 타인과 깊은 정서적 교류를 회피하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② 망상과 정서적 부적절성이 특징적이다.
③ 주의집중에 심한 어려움이 있다.
❹ 정서적으로 무감동하며 발병이 서서히 진행된다.
6. 다음 중 MMPI의 9번 척도 상승과 관련된 해석으로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2013.8)
❶ 과잉활동 ② 사고의 혼란
③ 정서적 침체 ④ 신체증상
7. 다면적 인성검사(MMPI)의 임상척도 중 0(Si)척도가 상승한 경우 함께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척도들로 짝지어진 것은?(2012.5)
❶ 2(D), 7(Pt) ② 9(Ma), 4(Pd)
③ 1(Hs), 3(Hy) ④ 6(Pa), 8(Sc)
8. MMPI의 임상척도와 그 점수가 높을 때 고려되는 방어기제를 짝지은 것으로 틀린 것은?(2015.3)
① Hy - 부정, 억압 ② Pa - 투사
❸ Ma - 부인, 억제 ④ Si - 회피, 철수
9. MMPI 상승척도쌍에 관한 해석으로 틀린 것은?(2013.8)
❶ 1-3 : 우울감이 동반되는 신체적 증상을 나타낸다.
② 4-6 : 만성적인 적대감과 분노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기 어렵다.
③ 6-8 : 사고장애와 현실판단력 장애 등 정신병적 상태를 나타낸다.
④ 7-0 : 불안과 긴장 수준이 높고, 이로 인해 사회적 상황을 회피하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
10. MMPI 상승척도쌍에 관한 해석으로 틀린 것은?(2013.8)
❶ 1-3 : 우울감이 동반되는 신체적 증상을 나타낸다.
② 4-6 : 만성적인 적대감과 분노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기 어렵다.
③ 6-8 : 사고장애와 현실판단력 장애 등 정신병적 상태를 나타낸다.
④ 7-0 : 불안과 긴장 수준이 높고, 이로 인해 사회적 상황을 회피하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
11. MMPI에서 2, 7 척도가 상승한 패턴을 가진 피검자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3)
❶ 행동화(acting-out) 성향이 강하다.
② 정신치료에 대한 동기는 높은 편이다.
③ 자기 비판 혹은 자기 처벌적인 성향이 강하다.
④ 불안, 긴장, 과민성 등 정서적 불안 상태에 놓여 있다.
12. MMPI의 2(D)-7(Pt)척도가 상승한 패턴을 가진 피검자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5)
① 불안, 긴장, 과민성 등 정서적 불안 상태에 놓여 있다.
② 자기 비판 혹은 자기처벌적인 성향이 강하다.
❸ 행동화(acting-out)하는 성향이 강하다.
④ 정신치료에 대한 동기는 높은 편이다.
13. MMPI-2에서 89/98 상승척도 쌍을 보이는 사람들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7.3)
① 과잉활동적이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하다.
❷ 사회적인 기준이나 가치를 지나치게 무시하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사람들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
③ 다른 사람들에게 다소 자기중심적이고 유아적인 기대를 한다.
④ 성취 욕구가 강하고 성취에 대한 압박감을 느끼지만, 그들의 실제 수행은 기껏해야 평범한 수준인 경우가 많다.
14. MMPI-2에서 4-6척도가 상승한 사람의 특징일 가능성이 가장 적은 것은?(2016.3)
❶ 항상 긴장되어 있고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
② 분노와 적개심이 억제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③ 타인에 대한 불신감이 많을 가능성이 높다.
④ 권위적 대상(authority figure)과의 관계에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15. 다음 중 MMPI 코드 쌍의 해석적 의미로 틀린 것은?(2011.6)
① 4-9 : 행동화적 경향이 높다.
② 1-2 : 다양한 신체적 증상에 대한 호소와 염려를 보인다.
❸ 2-6 : 전환증상을 나타낼 경우가 많다.
④ 3-8 : 사고가 본질적으로 망상적일 수 있다.
16. MMPI를 해석할 때는 대개는 상승척도 쌍, 즉 T점수가 70을 초과하여 가장 높은 2개의 척도를 중심으로 논의하게 된다. 다음은 어떤 상승척도 쌍에 대한 설명인가?(2010.5)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편집증적 경향과 사고장애이다. 사고는 자폐적, 단절적, 우회적이며 사고내용은 기태적이다. 주의집중의 곤란과 판단력의 장애를 보인다. 체계적인 망상을 보이며 비현실감을 호소하고 많은 시간을 백일몽과 환상 속에서 보낸다. |
① 1-3 / 3-1 유형 ② 2-0 / 0-2 유형
❸ 6-8 / 8-6 유형 ④ 4-9 / 9-4 유형
17. 다음은 MMPI의 2개 척도 상승 형태분석의 한 예이다. 어느 척도 상승에 해당하는 것인가?(2010.5)
이 프로파일은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특징을 나타낸다. 즉, 사회적 규범과 가치관, 제도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무시하며 반사회적 행위, 권위에 대한 거부 문제가 흔히 나타난다. 이들의 성격 특성은 충동적이고 무책임하며 타인과 관계에서 신뢰할 수 없다. |
❶ 4-9 ② 2-7
③ 1-2 ④ 3-5
18. 다음 중 다면적 인성검사(MMPI)의 특수척도 중 자아강도 척도(Ego Strength Scal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5)
① 정신치료의 성공여부를 예측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② 개인의 전반적인 기능수준과 상관이 있다.
③ 효율적인 기능과 스트레스를 견디는 능력을 반영한다.
❹ F척도가 높을수록 이 척도의 점수는 높아진다.
19. MMPI-2 임상척도와 Kunce와 Anderson(1984)이 제안한 기본 차원 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18.3)
❶ 1번 척도 - 표현 ② 4번 척도 - 주장성
③ 8번 척도 - 상상력 ④ 9번 척도 - 열의
'임상심리사2급(필기) >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격검사]16PF(성격요인검사), 성격평가질문지(PAI) (0) | 2020.03.23 |
---|---|
다면적 인성검사(MMPI)-(4) (0) | 2020.03.23 |
다면적 인성검사(MMPI)-(2) (0) | 2020.03.20 |
다면적 인성검사(MMPI)-(1) (0) | 2020.03.20 |
[지능검사]K-WAIS/K-WAIS-Ⅳ (0) | 2020.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