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표준화 심리검사의 개발과정을 이해하고, 신뢰도와 타당도 등 각 개념과 종류를 알고 있어야 한다.
1. 다음에 제시된 검사제작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3.8)
A. 검사목적에 관한 조작정 정의 B. 문항 적성 및 수정 C. 검사목적의 명세화 D. 신뢰도, 타당도, 규준 작성 E. 예비검사 실시와 문항분석 F. 최종검사 제작 |
① A → C → B → E → F → D
② A → C → E → B → D → F
❸ C → A → B → E → F → D
④ C → A → B → F → D → E
2. 심리검사의 제작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8)
① 평균이 지나치게 한쪽으로 몰려 있거나 분산이 작은 경우는 정보가가 낮아 좋은 문항이라고 하기 어렵다.
❷ 문항의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개인의 능력을 변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늘어난다.
③ 오답을 정답으로 잘못 선택하는 확률은 각 오답 선택지별로 동질적인 것이 좋다.
④ 검사 점수의 변량이 작으면 검사의 신뢰도나 타당도는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3. 표준화 검사의 개발 과정으로 옳은 것은?(2018.8)
❶ 검사목적 구체화 → 측정방법 검토 → 예비검사 시행 → 문항수정 → 본검사 제작 → 검사문항 분석 → 검사사용 설명서 제작
② 측정방법 검토 → 검사목적 구체화 → 예비검사 시행 → 문항수정 → 검사문항 분석 → 본검사 제작 → 검사사용 설명서 제작
③ 검사목적 구체화 → 예비검사 시행 → 측정방법 검토 → 본검사 제작 → 문항수정 → 검사문항 분석 → 검사사용 설명서 제작
④ 측정방법 검토 → 검사목적 구체화 → 예비검사 시행 → 검사문항 분석 → 문항수정 →→ 본검사 제작 → 검사사용 설명서 제작
4. 표준화 검사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8)
① 감사 실시의 절차가 엄격히 통제된다.
② 모든 표준화 검사는 규준을 갖고 있다.
❸ 반응의 자유도를 최대한으로 넓힌다.
④ 두 가지 이상의 동등형을 만들어 활용한다.
5. 표준화된 검사가 다른 검사에 비하여 객관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해주는 이유는?(2008.5)
① 타당도가 높기 때문이다.
❷ 규준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③ 신뢰도가 높기 때문이다.
④ 실시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임상심리사2급(필기) >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검사]표집법-대표값-표준점수 (0) | 2019.06.30 |
---|---|
[심리검사]타당도 (0) | 2019.06.30 |
[심리검사]신뢰도-문항난이도 (0) | 2019.06.30 |
[심리평가 기본]심리검사의 종류-심리검사의 시행 (0) | 2019.06.30 |
[심리평가의 기본]심리평가-검사 윤리 (0) | 2019.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