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검사의 종류와 검사구성방법을 짝지은 것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5.3)
① 16PF - 요인분석에 따른 검사구성
② CPI - 경험적 준거에 따른 검사구성
③ MMPI - 경험적 준거방법
❹ MBTI - 합리적, 경험적 검사구성의 혼용
2. 심리검사의 시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8)
① 표준절차 외에 자신만의 효과적인 절차를 사용한다.
② 중립적 검사시행을 위해 라포 형성은 가급적 배제되어야 한다.
❸ 표준절차 외의 부가적 절차로 산출된 결과는 규준에 의거하여 해석하지 않는다.
④ 검사를 자동화된 컴퓨터 검사로 전환한 경우 원 검사에 대한 전문적 훈련은 요구되지 않는다.
3. 투사적 성격검사와 비교할 때, 객관적 성격검사의 장점은?
❶ 객관성의 증대 ② 반응의 다양성
③ 방어의 곤란 ④ 무의식적 내용의 반응
4. 검사의 종류와 검사구성방법을 짝지은 것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5.3)
① 16PF - 요인분석에 따른 검사구성
② CPI - 경험적 준거에 따른 검사구성
③ MMPI - 경험적 준거방법
❹ MBTI - 합리적, 경험적 검사구성의 혼용
'임상심리사2급(필기) >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검사]표집법-대표값-표준점수 (0) | 2019.06.30 |
---|---|
[심리검사]타당도 (0) | 2019.06.30 |
[심리검사]신뢰도-문항난이도 (0) | 2019.06.30 |
[심리검사의 제작원리]심리검사 제작 절차 및 표준화검사 (0) | 2019.06.30 |
[심리평가의 기본]심리평가-검사 윤리 (0) | 2019.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