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7. 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인
① 희망 심어주기: 내담자의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준다.
② 보편성: 다른 사람들도 자신과 유사한 생각과 고민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된다.
③ 정보전달: 다른 집단원이 어떤 방식으로 그 문제를 극복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된다.
④ 이타주의: 서로 도움을 주고받으며 자신도 누군가에게 중요한 존재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⑤ 일차 가족관계의 재현: 내담자는 부모 형제들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집단에서 다시 경험하게 된다.
⑥ 사회화 기술의 발달: 다른 집단원과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면서 다양한 사회화 기술을 습득한다.
⑦ 모방행동: 다른 집단원들이나 집단상담자를 모방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배우게 된다.
⑧ 대인관계 학습: 집단원이 가지고 있는 대인관계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패턴을 습득한다.
⑨ 집단응집력: 집단에 계속 참여하는 모인 요인들이며, 집단원에게 소속감과 안정감을 제공한다.
⑩ 정화: 내면에 억압된 여러 가지 감정과 생각들이 노출되면서 정서적 변화가 생긴다.
⑪ 실존적 요인: 인생의 고통을 직면하며 자신의 인생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된다.
'직업상담사 2급 > 심화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로 관련 주요 용어정리 (0) | 2013.06.28 |
---|---|
직업정보의 이해 (0) | 2013.06.27 |
[노동시장론] 실업의 유형 (0) | 2013.05.20 |
[노동시장론]인적자본이론_노동자의 자발적 이동 (0) | 2013.05.19 |
[노동시장론]노동수요의 결정요인 (0) | 2013.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