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사2급(필기)/임상심리학

[임상심리학 개요]임상심리사의 윤리

상담사 이우 2020. 3. 30. 21:22

1. 다음 중 임상심리사의 윤리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5)

    임상심리사는 자신의 전문 영역 밖의 실무를 절대로 해서는 안 된다.

    실시와 해석에 자격이 있는 사람만이 심리 평가도구를 사용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자격없는 사람이 검사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임상심리사는 전문적인 방식으로 치료적 관계를 구성해야 한다.

    임상심리사는 자신의 수련, 경험, 학위 및 활동들을 잘못 나타내는 공적 진술을 피해야 한다.

 

2. 임상심리사의 윤리에 어긋나는 행위는?(2016.8)

    본인이 맡고 있는 상담사례에 대해 지도를 받기 위하여 지도감독자에게 상담의 내용을 설명한다.

    내담자의 동의 없이 인적 사항을 포함한 상세한 상담 내용을 잡지에 기고한다.

    부모의 동의하에 아동의 지능 검사 결과를 교사에게 알려준다.

    자살과 같은 위급한 상황에서 본인의 동의를 받지 못한 채 부모나 경찰에게 연락한다.

 

3. 임상심리학자의 법적·윤리적 책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5)

    임상심리학자의 직업수행에는 공적인 책임이 따른다.

    어떠한 경우에도 내담자의 비밀은 보장해야 한다.

    내담자 사생활의 부당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내담자, 피감독자, 학생, 연구참여자들을 성적으로 악용해서는 안 된다.

 

4. 미국심리학회(2002)에서 제시하고 있는 윤리강령의 일반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3)

    전문능력

    성실성

    타인의 복지에 대한 관심

    치료자의 자기 인식능력

 

5. 캐나다 윤리규약(Canadi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5)에서 제시한 심리학자의 윤리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4.8)

    개인의 존엄성에 대한 존중

    관계에서의 성실성

    환자와 심리 전문가간의 관계적 융통성

    사회에 대한 책임성

 

6. 다음은 어느 항목의 윤리적 원칙에 위배되는가?(2018.8, 2011.6)

임상심리사가 개인적인 심리적 문제를 갖고 있다든지, 너무 많은 부담 때문에 지쳐있다든지, 교만하여 더 이상 배우지 않고 배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거나, 해당되는 특정 전문교육수련을 받지 않고도 특정 내담자군을 잘 다룰 수 있다고 여긴다. 

    유능성              성실성

    권리의 존엄성    사회적 책임

 

7. 다음에 해당하는 심리학자의 윤리원칙은?(2009.5)

심리학자들은 부적절한 이중관계를 피하는데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유능성               성실성

    사회적 책임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책임

 

8. 비밀보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3)

    내담자에게 얻은 정보에 대한 비밀보장을 중요시해야 한다.

    내담자 자신이나 타인에게 명백한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경우에도 비밀보장은 준수되어야 한다.

    적절한 시기에 내담자들에게 비밀보장의 법적인 한계에 대하여 알려주어야 한다.

    전문적인 관계에서 얻은 정보나 평가자료는 전문적인 목적을 위해서만 토론되어야 한다.

 

9. 다음 중 비밀유지의 의무가 제외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3)

    자살 가능성이 있는 내담자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있는 내담자

    강도, 강간 등 범죄 피해자

    아동학대의 사례

 

10. 임상심리사 윤리규정에서 비밀 유지를 파기하거나 비밀을 노출해도 되는 경우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5.3)

    기혼인 내담자의 외도 사실을 알았을 때

    성인인 내담자가 초등학교 시절 물건을 훔친 사실을 알았을 때

    말기암 환자인 내담자가 구체적인 자살계획을 보고할 때

    우울장애를 지닌 내담자가 지구상의 모든 인간이 다 죽었으면 좋겠다.” 고 보고할 때

 

11. 비밀보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8)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으로부터 얻은 정보에 대한 비밀보장을 중요시해야 한다.

    내담자 자신이나 타인에게 명백한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경우에도 비밀보장은 준수되어야 한다.

    적절한 시기에 내담자들에게 비밀보장의 법적인 한계에 대하여 알려주어야 한다.

    전문적인 관계에서 얻은 정보나 평가자료는 전문적인 목적을 위해서만 토론되어야 한다.

 

12. 임상심리학자로서 지켜야 할 내담자에 대한 비밀보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6)

    일반적으로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에 대해 알게 된 사실을 다른 사람들에게 말하면 안 된다.

    아동 내담자의 경우에도 아동에 관한 정보를 부모에게 알려서는 안 된다.

    자살 우려가 있는 경우 내담자의 비밀을 지키는 것보다는 가족에게 알려 자살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상담 도중 알게 된 내담자의 중요한 범죄사실에 대해서는 비밀을 지킬 필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