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기초이론

8. 직업상담의 문제유형

상담사 이우 2011. 4. 4. 12:42

 

1) 특성-요인 진로상담의 기본은 변별진단이며, Williamson은 네가지 범주를 제시하였다.

 

진로무선택

(선택하지 않음)

학교교육과 직업훈련을 마친 후에 ‘자신이 갖고자 하는 직업이 어떤 것이냐’라고 물을 때 내담자들은 선택의사를 표현할 수 없고 대개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잘 모르겠다’라고 대답한다.

불확실한 선택

내담자는 직업을 선택하지만 그 결정에 대하여 의문을 나타낸다. 조작적으로 확신, 불확신의 정도는 직업선택확신도에 의해 정의할 수 있다.

현명하지 못한 선택

내담자의 능력과 흥미 간의 불일치 또는 내담자의 능력과 직업의 요구들과의 불일치로 정의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현명하지 못한 선택은 내담자의 불충분한 능력에 의한 진로결정을 의미한다.

흥미와 적성 간의 모순

-내담자의 적성이 그 직업에서 요구하는 수준보다 낮은 경우

-내담자가 능력 이하의 직업에 대한 관심

-흥미와 능력은 같은 수준이지만 직업분야는 다른 경우

 

2) Bodin의 내담자의 문제 영역

 

정신분석적 직업상담은 주로 Bodin과 그의 동료들(1968)에 의해 발전되었다. Bodin은 진단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아래와 같이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내담자의 문제영역을 제시하였다.

①의존성: 개인이 겪고 있는 문제를 책임지고 해결하지 못하여 생애의 발달 과업 완수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이다.

②정보의 부족: 진로의사결정과 관련된 정보를 얻지 못함으로써 진로 결정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이다.

③자아갈등: 자아개념과 다른 심리적 기능 간의 갈등으로 인하여 진로 결정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이다.

④선택불안: 진로 선택과 관련하여 불안을 경험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자신이 바라는 선택과 부모가 바라는 선택이 서로 달라서 불안을 경험하는 것과 같은 경우이다.

⑤문제없음: 선택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경우이다. 이러한 사람은 현실적으로 타당한 진로 선택을 했으나, 그것을 확인하고자 상담하러 온다.


진로상담의 목적은 내담자가 진로의사결정을 하도록 돕는 것이며, 내담자의 성격을 자신이 만족을 느낄 수 있는 직업에 알맞도록 변화시키는 것이다.


3) Crites의 직업선택 문제에 대한 정의

 

포괄적 진로상담에서 상담자는 변별진단을 통해 내담자의 문제에 대한 분류를 실시한다. 문제의 원인과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정신역동적 진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해 내담자에 대한 배경지식을 얻고 진로의식성숙검사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내담자의 진로 선택에 대한 태도와 능력을 파악한다. Crites는 아래와 같이 적응문제, 우유부단의 문제, 비현실성의 문제로 분류하여 직업선택 문제에 대한 정의를 내렸다.


 적응문제

  1. 적응된(adjusted)사람은 자신의 흥미분야와 적절한 적성수준에서 직업을 선택한다. 그는 다양한 흥미유형을 갖고 있을지 모르나, 적어도 직업선택에서는 그런 유형 중의 하나와 일치시킨다. 그가 '확신이 없이' 상담하러 올지라도 실제로 그에게는 '문제가 없다.'

  2. 부적응된(maladjusted)사람의 직업선택은 그의 흥미 분야와 적성수준과 일치하지 않는다. 여기서의 문제는 의사결정과정에 관련된 변인들 사이의 완전한 불일치다.

우유분단의 문제

  1. 가능성이 많은(multipotential)사람은 두 번 또는 그 이상의 선택을 하기도 하지만 이런 선택의 각각은 그의 흥미 분야나 적성수준에서 일치한다, 그는 흥미유형이 다양할 수 있지만 직업선택 시에는 자신의 흥미 유형 중 하나와 일치되는 것을 선택한다. 그의 문제는 그가 이런 여러 대안들 중에서 하나를 결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2. 우유부단한(undecided)사람은 선택을 하지 못한다. 그는 또한 여러 흥미유형을 갖고 있을 수 있고, 적성수준이 높거나 보통이거나 또는 낮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변인들의 수준에 관계없이, 그의 문제는 미래에 그가 갖고자 하는 직업에 확신을 갖고 말할 수 없다는 것이다.

비현실성의 문제

  1. 비현실적인(unrealistic)사람은 그의 흥미 분야와 일치하거나 또는 일치하지 않는 분야를 선택한다. 그러나 그는 그의 측정된 적성수준

     보다 높은 적성을 요구하는 직업을 선택한다. 

  2. 수행불가능한(unfulfilled)사람은 그의 흥미 분야와는 일치하지만 측정된 적성수준보다 낮은 적성을 요구하는 직업을 선택한다.

  3. 강요된(coerced) 사람은 적절한 적성수준에서 선택을 하지만 그의 흥미 분야와는 일치하지 않은 직업을 선택한다. 그의 문제가 비록 적응이나 우유부단의 문제로 보이지만 선택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여기에 해당된다. 내담자의 선택이 비현실적이 되는 이유는 그것이 적절하지 못한 흥미 영역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