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기초이론

1. 직업상담을 위한 심리검사

상담사 이우 2011. 4. 4. 13:10

 

01. 심리검사의 개요


심리검사는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나 어떤 대상 또는 사건에 대한 생각․느낌․태도․의견․가치관․흥미 등과 같은 인간의 내현적인 심리적 구성물을 비교적 단시간에 편리하게 측정해서 수량화할 수 있는 심리학적 측정도구이다.


심리검사는 인간의 보이지 않는 면, 즉 심리적 현상을 알아보기 위해 고안된 도구이다. 심리검사의 결과는 개인을 알게 해주는 여러 방법 중 하나라는 점, 그리고 그 결과는 참고자료일 뿐, 결정적인 자료가 아니다.


심리검사의 기본 요건은 검사의 신뢰도, 타당도, 규준(비교준거)을 말하며, 이상의 세 가지 조건을 갖춘 검사를 ‘표준화된 검사’ 또는 ‘정량적 검사’라고 한다. 반면에 규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지 않은 검사를 ‘정질적 검사’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심리적 속성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측정하는 도구로써, 인간의 심리적인 영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인간 전체가 아닌 인간이 지닌 일부분인 속성을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심리검사는 속성을 측정(인간이 지닌 심리적 속성을 점수화한다는 의미이다)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다.


02. 심리검사의 목적


이해-개인의 적성, 개성 발견, 타인의 이해를 돕는다.

예측-여러 가지 결정시 미래에 대한 예측으로 사용된다.

선발-학교나 공공기관에서 사람을 선발 할 때 개인간 차이를 제시한다.

진단-개인의 기본 특성들의 본질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검증-사회과학 분야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참고02-1] 심리검사의 상반된 두 가지 견해가 있으나, 심리검사의 기능을 학교현장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첫째 심리검사는 학생 개인 자신을 이해하는 하나의 객관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둘째, 심리검사는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중요한 수단을 제공한다. 셋째, 학생의 상담과 생활지도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과 진단 및 개선을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 넷째, 교육연구에 신뢰성 있는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활용된다.(심리검사의 이론과 실제)

 

03. 직업심리검사의 이해

 

1) 직업심리검사의 개념: 직업선택 및 직업생활과 관련되는 다양한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측정하여 직업생활 과정 중 발생하는 심리적 문제를 파악하고 적합한 직업선택과 조직에 적합한 사람을 선발, 배치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2) 직업심리검사의 기능

기능

설명

성공가능성에 대한

예언

-학업분야나 직업, 혹은 다른 경력 장면에서 개인의 성공가능성 예측

-특정 직업분야에서의 경쟁력이나 성취가능성을 고려하도록 하고, 성공을 위해 강화해야 할 적성능력이 무엇인지 가이드해주도록 함

직업적합도에 대한

변별

-개인의 흥미, 가치, 선호가 현직자들과 어느 정도 비슷한지 비교

-해당 직무를 얼마나 잘 수행할 수 있을지의 정도가 아니라, 해당 직업환경에서 얼마나 잘 적응하고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지 측정

직업선택 준비도에 대한 조정

-직업선택에 대한 준비도, 의사결정능력, 진로성숙도 수준 조정

-예. 진로성숙도 검사 후 개인에게 의사결정모델제시, 혹은 독립성-의존성 수준을 잘 조정하여 효율적 직업선택을 준비하도록 지원

직업지도에 대한

평가

-특정한 직업지도프로그램의 사전, 사후간의 특성 측정

-직업지도프로그램과 개인 및 집단의 행동 결과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는 매개체로서 직업지도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연구에 활용

 

04. 직업심리검사의 유용성

1) 자신의 직업적 특성에 대해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정보 제공(직업심리검사의 결과는 피검자의 특성과 직업에서 요구하는 특성을 비교, 측정)

2) 검사를 받는 과정 자체가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3) 상담자와 내담자가 보다 자연스럽게 진로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는 동기화하는 역할(상담의 과정을 통해 검사결과와는 다른 방향으로 진로설계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검사결과를 가지고 내담자와 이야기 하는 것은 내담자의 다양한 특성을 종합해 볼 수 있는 단서 제공의 기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