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결정 요인 진로선택과 진로결정요인 진로선택이란 각 개인이 개인적 요건(적성, 흥미, 성격, 학력, 신체적 조건 등), 환경적 요건(부모 직업 수준, 자녀에 대한 기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적 요건(직업에 대한 태도, 가치관, 직업 분야에 대한 이해, 직업 세계의 변화)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장래의 .. 직업상담사 2급/기초이론 2011.04.07
심리검사 공부하기 직업상담 현장에서는 주로 고용노동부 워크넷 사이트를 통해 직업심리검사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또한 일반인에게 많이 인식되어 있는 검사를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심리검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심리검사에 대한 전문적인 해석, 그리고 심리검사를 다루는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심리검사에 대한 준전문가 수준의 학습이 필요하다. 또한 표준화된 심리검사의 경우 심리검사기관에서 교육과 워크숍을 통해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① 심리검사의 이론과 실제, 신석기 외, 서현사, 2007 심리검사의 이론과 실제를 다룬 책. 특히 다양한 목적과 여러 형태의 심리검사가 가장 많이 활용되는 장소인 학교장면에 초점을 두었다. 심리검사와 관련한 측정학적 기초와 함께 영역별 심리검사에 대한 배경지식, 그리고 이를 상담장면에 .. 상담실무/상담심리학습 2011.04.07
심리학개론과 직업심리학 공부하기 상담은 인간이 가진 심리에 대한 이해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인간의 심리적 특성에 대해 이해를 하고 있다면, 상담에 대한 더 깊은 통찰을 얻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학교재로 사용되는 심리학개론과 직업상담 장면에서 효율적으로 내담자의 심리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도서 및 심리검사에 대한 이해를 돕는 도서를 뽑아 보았다. ① 현대심리학의 이해, 현성용외, 학지사, 2008 『현대 심리학 이해』2판. 새로이 제시되는 심리학적 원리들 및 심리학 분야들을 소개한다. 전형적 주제들은 물론 사이버심리학, 성심리학 등이 추가되었다. 심리학적 지식들이 현장에서 응용되는 측면을 강조하였으며, 해당 주제와 관련된 풍부한 실례들을 포함하였다. 각 장마다 '21세기 최근 연구 동향'이라는 상자글을 마련하여 독자들에게.. 상담실무/상담심리학습 2011.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