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1 직업상담의 실제 part.1 직업상담의 실제 1) 직업상담을 위한 틀 진로의식 개인모형(Career-conscious individual model) Gysbers와 Moore(1987)는 직업상담 과정을 생애 진로 계획(Life Career Planning)으로 생각하고, 내담자가 일련의 직업들을 포함하는 직업 경로들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전략을 고안했다. 이 계획은 매우 포괄적.. 직업상담사 2급/기초이론 2011.04.09
8. Tinsley & Bradley 심리검사의 결과 해석단계 Tinsley & Bradley(1986, 1988)는 결과 해석의 4단계를 제시하였다. 첫단계는 해석준비기이다. 이 단계에서는 내담자가 검사 자체와 점수 의미에 관하여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지, 내담자의 교육, 가정환경등 중요한 관련 정보와 검사 결과의 의미가 어떻게 통합되는지 잘 알고 있는지 등을 심사숙.. 직업상담사 2급/기초이론 2011.04.08
민간 직업상담 관련 고용서비스 교육과정개발 참고 자료 민간 직업상담 관련 고용서비스 교육과정개발 참고 자료 1. 노동 및 직업시장 분석 고대노동문제연구소(1982). 노동경제학, 서음출판사 김병숙 편(2008). 노동시장론 및 노동관계법규, 시그마프레스 배무기(1995), 노동경제학, 경문사 2. 기업분석 양화섭(2000). 경영학원론, 학문사 이승종(2003). 21세기 지식정.. 2020_庚子年/독서일기_2020 2011.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