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기초이론

개인-환경-일치상담

상담사 이우 2015. 8. 17. 06:30

2절. 개인-환경-일치상담

 

- 1990년대 초반에는 직업적응 이론(TWA)이라 불림

- 개인과 작업환경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상호작용까지 포함하여 개인-환경-일치(PEA)라는 명칭이 붙음

- 기본가정은 개인이 그들의 작업환경과 긍정적 관계를 얻고 유지하려 한다는 것이다.

- 사람들은 성공적으로 직무요건을 충족시켜야 하고 작업환경은 개인의 요구조건을 실현시켜 주어야 한다. 종신고용을 가능케 하는 직업안정성은 개인과 작업환경 간의 합치성의 함수이다. 작업환경과의 일치를 얻어내고 이를 유지하는 과정이 직업적응(work adjustment)이다.

 

Dawis와 Lofquist 이론의 네 가지 핵심

(1) 작업성격과 작업환경은 어울려야 한다.

(2) 개인의 욕구는 작업환경에 대한 적합성을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다.

(3) 작업장면을 특징짓는 강화체제와 개인적 욕구는 안정성과 직무유지의 중요한 측면이다.

(4) 작업자의 속성과 작업환경의 요건을 잘 짝지을 때 직무 배치가 가장 잘 이루어진다.

 

- 커리어상담자가 내담자들이 좋아할 작업환경을 찾도록 도와주려면 내담자의 직무만족 욕구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 커리어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욕구나 흥미, 능력을 작업 환경 내의 상이한 강화물들ㄹ의 수준과 유형에 맞추는 것을 돕기 위한 직업정보를 사용해야 한다.

- 커리어상담자들에게 중요한 것은 직업적응과 성격유형이 다른 개념이기는 하지만 서로 밀접히 관련된다는 것이다. 적응행동, 즉 융통성 정도, 능동성, 수동성, 인내, 성격유형 등은 커리어설계시, 그리고 특히 최선의 개인-환경 적합성을 발견할 때 이용될 수 있다.

- 주요 관심사는 능력(작업 기술)과 가치(작업 가치)이며, 능력측정을 위해서는 미국 노동부의 일반적성검사총집(GATB)이 사용되며, 가치 측정에는 미네소타 중요도 검사(MIQ)가 사용된다.

- 커리어설계는 내담자가 성취지향적인가(satisfactoriness:충족)인가 자기충족지향적인가(satisfaction:만족)를 결정함으로써 내담자에게 가장 의미있는 것이 되도록 개념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