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기초이론

[직업상담학] 면접의 기본 방법

상담사 이우 2011. 7. 5. 22:43

제2편 직업상담 실제

 

1. 면접의 기본방법

 

[기출_기본유형]

[2001년 1회] 직업상담의 기법 중 적극적 경청, 직면, 공감에 대해 설명하시오.

[2003년 2회] 개방형질문과 폐쇄형 질문의 차이점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2004년 3회]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기본기술인 적극적 경청, 공감, 반영, 직면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2006년 1회] 상담을 위한 면접에서 기본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인 ‘해석’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제한점을 2가지 이상 기술하시오.

[2007년 1회]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기본 기술인 적극적 경청, 공감, 명료화, 직면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기출_사례유형]

[2001년 1회] 다음의 내담자를 평가적 반응, 해석의 예, 반영의 예에 의한 방법으로 상담하고 각 특성을 약술하시오.

[실업한 가장의 상담내용]

- 가족들이 너무 많은 걸 바래요. 아내는 집안 청소도 안하고, 아이들은 공부도 안하고, 저에게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하고 요구합니다.

[2002년 3회] 다음과 같은 여성 내담자의 말에 대하여 높은 수준의 공감적 이해로 상담하시오.

내담자 : 남자직원들과 똑같이 입사시험을 치르고 정당하게 입사를 했는데, 여직원에게만 커피를 타게 해요.

[2003년 2회] 다음과 같은 사례에 대해 직면의 기법으로 상담하시오.

대학원에 가고 싶고, 상담을 배워 상담사가 되고 싶은데 놀고만 싶어요.

 

part 57. 면접의 기본 방법

○ 경청이란 내담자의 말과 행동에 상담자가 선택적으로 주목하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상담자는 내담자의 말과 행동 중에서 상대적으로 비중을 두어 선택적으로 주목함으로써 내담자가 특정 문제에 대해 탐색하도록 돕는다. 이 때 상담자가 선택적으로 주목한 것은 내담자의 진술의 흐름에 부합하는 것이어야 한다.

○ 반영은 내담자의 말과 행동에서 표현된 기본적인 감정·생각 및 태도를 상담자가 다른 참신한 말로 부연해 주는 것이다. 이것은 내담자의 자기이해를 도와주고 내담자로 하여금 자기가 이해받고 있다는 인식을 주게 된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내면적 감정을 정확히 파악하여 내담자에게 전달해주어야 하며, 내담자가 말로 표현한 수준 이상으로 깊어 들어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공감이란 자신이 직접 경험하지 않고도 다른 사람의 감정을 거의 같은 내용과 수준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즉, 타인의 입장에 서게 되는 것이며 타인의 눈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것이다.

○ 명료화는 내담자의 말 속에 내포되어 있는 것을 내담자가 명확하게 해주는 것을 말한다. 내담자의 실제 반응에서 나타난 감정 또는 생각 속에 암시되었거나 내포된 관계와 의미를 내담자에게 보다 분명하게 말해 주는 것이다. 명료화의 자료는 내담자 자신이 미처 자각하지 못하는 의미 및 관계이다.

○ 직면은 내담자가 모르고 있거나 인정하기를 거부하는 생각과 느낌에 대해서 주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기법의 효과는 내담자의 변화와 성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반면, 내담자에게 심리적인 위협과 상처를 줄 수 있을 만큼 강력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담자는 직면반응을 사용할 때 내담자의 준비 정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 해석은 내담자가 말한 경험내용에 새로운 의미와 관련성을 부여하여 언급하는 것이다. 즉, 내담자가 미처 자각하지 못하고 있는 의미와 관련성을 상담자가 지적해주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특히 해석은 내담자가 의식하지 못한 의미까지 지적·설명해주어야 하기에 가장 어렵고 무의식에 관한 ‘분석적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part 58. 해석의 제한점

해석을 할 때 제한점은 첫째, 해석이 위협을 주는 경우이다. 내담자가 새로운 지각과 이해를 받아들이려 하지 않을 때에는 저항이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해석은 내담자의 자기탐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둘째, 해석 때문에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지나치게 주지화하는 경향을 초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주지화는 내담자가 자신의 내면적 감정을 드러내지 않으려는 방어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주지화(主知化): 받아들이기 어려운 충동, 욕구, 감정을 경험하지 않기 위하여 지적으로만 문제를 정의하려는 방어기제이다.

 

part 59. 개방형 질문과 폐쇄형 질문의 차이점

○폐쇄형 질문: 구체적인 답변을 요구하는 질문으로 답변은 매우 짧다. 상담자가 자료를 모으는데 사용되며 특정한 대답을 이끌어 내는 질문이다. 폐쇄형 질문에 대한 내담자의 대답은 매우 짧아서, 전형적으로 한두 마디의 대답, 즉 ‘예’나 ‘아니오’로 끝나는 한정된 반응으로 이끈다. 폐쇄형 질문은 상담자가 시간을 절약해서 내담자로부터 정확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끌어내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폐쇄형 질문의 단점은 내담자가 대답을 하기 위해 자신의 창의력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점이다. 따라서 내담자가 창의적이 되도록 격려해 주지 못하고, 내담자에게 제한된 반응만 하도록 하기 때문에 새로운 정보를 공유할 수 없다.

○개방형 질문: 내담자의 반응에 한계를 정하는 것보다 오히려 내담자에게 많은 여지를 주며 연관된 영역을 탐색하고 명료화하도록 하는 질문이다. 상담자는 개방형 질문을 할 때 보통 구체적이고 짧은 대답을 기대하지 않는다. 상담자는 개방형 질문을 통해 내담자로부터 다양한 대답과 예기치 않았던 부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내담자로부터 특정한 정보를 빨리 얻고자 할 때를 제외하고는 폐쇄형 질문보다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