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관도
① 상관계수는 두 변인이 서로 관계되어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한 변인이 변해감에 따라 또 다른 변인이 얼마만큼 함께 변하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② -1에서 +1의 값을 가지며 절대값이 클수록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피어슨(Pearson)의 적률상관계수가 많이 쓰인다.
③ 상관계수는 대개 변량에 대한 해석을 많이 하는데, 변량이란 표준편차를 제곱한 값이다. 상관계수를 제곱하면 한 변인의 변량이 나머지 다른 변인의 변량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④ 상관도가 높다는 것은 두 변인 간에 공통요인이 많으며, 공변관계가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상관계수가 높게 나올수록 정확한 예언을 할 수 있다.
⑤ 상관의 크기는 산포도를 그려봄으로써 알 수 있다. 사례들이 나타내는 점들이 직선에 가깝게 모여 있을수록 상관계수가 크며 점들이 퍼져 있을수록 상관계수가 적다.
⑥ 상관계수의 해석시 주의할 점은 먼저 적률상관계수는 두 변인의 관계가 직선적일 때, 그 크기를 제대로 해석할 수 있고, 두번째로 상관계수의 크기가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상관계수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점수의 제한, 서로 다른 두 집단의 결합 등이 있다.
[1차 기출시험] 지능검사 점수와 학교에서의 성적간의 상관계수가 0.30일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지능검사를 받은 학생들 중 30%가 높은 학교성적을 받을 것이다. ② 지능검사를 받은 학생들 중 9%가 높은 학교성적을 받을 것이다. ③ 학교에서의 성적에 관한 변량의 9%가 지능검사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④ 학교에서의 성적에 관한 변량의 30%가 지능검사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정답과 해설] ③, 상관계수를 통해서 결정계수를 구할 수 있으며, 결정계수 해석시 “어떤 변수(지능)는 다른 변수(성적)의 변동을 몇 % 설명하고 있다”로 해석이 가능, 따라서 위 문제는 "학교에서의 성적에 관한 변량의 9%가 지능검사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로 기술된다. 참고로 상관계수나 결정계수는 통계분석방법 중에 희귀분석에서 사용하는 통계량임. 위 문제의 경우 상관계수가 0.30이기 때문에 결정계수는 0.30*0.30=0.09이 된다. |
'직업상담사 2급 > 기초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심리학] 측정오차를 줄이는 방법 (0) | 2011.08.14 |
---|---|
[직업심리학] 측정의 표준오차(SEM) (0) | 2011.08.14 |
[직업심리학] 검사점수의 변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0) | 2011.08.11 |
[직업심리학] 통계적 기본개념 (0) | 2011.08.11 |
[직업심리학] 준거의 특성 (0) | 2011.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