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기초이론

[직업심리학] 진로성숙검사(CMI)

상담사 이우 2011. 8. 16. 22:19

4. 진로성숙검사(CMI)

[기출]

[2002년 2회] CMI(진로성숙검사도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05년 3회] 발달적 직업 검사에서 활용되는 진로성숙도검사(CMI)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2009년 2회] 진로성숙도검사(CMI)의 하위척도 중 태도척도, 능력척도의 측정내용 2가지씩 적으시오.

[해설]

○ 개요: 진로성숙검사도구(CMI)는 최초로 객관적으로 점수화되고 표준화된 진로발달측정도구로 개발된 것이다(Crites, 1973). 진로선택에 관한 태도와 의사결정능력의 관점에서 학생들의 진로의식성숙의 발달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척도이다.

○ 발달론적 입장(Ginzber, Super, Crites)에서는 자기 이해와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에 따라 직업을 선택하기 위한 능력이 연령에 따라 변화하는 것에 주목하며, 진로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준비도로서의 진로성숙을 강조한다.

○ 진로성숙검사도구는 태도척도와 능력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태도척도는 아래와 같다.

① 결정성: 선호하는 진로의 방향에 대한 확신의 정도로 “나는 선호하는 진로를 자주 바꾸고 있다.”는 문항의 예를 통해 측정한다. 

② 참여도: 진로선택과정에의 능동적 참여의 정도이며, “나는 졸업할 때까지 진로선택 문제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겠다.”는 문항의 예를 통해 측정한다. 

③ 독립성: 진로선택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정도이며, “나는 부모님이 정해 주시는 직업을 선택하겠다.”는 문항의 예를 통해 측정한다. 

④ 성향: 진로결정에 필요한 사전이해와 준비의 정도이며, “일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한 바가 거의 없다.”는 문항의 예를 통해 측정한다. 

⑤ 타협성: 진로선택시 욕구와 현실을 타협하는 정도이며, “나는 하고 싶기는 하나 할 수 없는 일을 생각하느라 시간을 보내곤 한다.”는 문항의 예를 통해 측정한다.

○능력척도는 진로의사결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는 지식영역 즉, 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선정, 계획, 문제해결 등 5개 영역을 측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