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기출문제(풀이)

2012년 제1회 직업상담사2급 직업정보론 기출문제

상담사 이우 2012. 3. 19. 21:00

제 3 과목: 직업정보론


41. 실업급여 중 취업촉진수당이 아닌 것은?

 가. 직업능력개발수당                    나. 광역구직활동비                   다. 훈련연장급여                   라. 이주비

[정답과 해설] 다


42. 국가기술자격 종목과 해당 직무분야가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가. 임상심리사1급 - 보건․의료                                나. 텔레마케팅관리사 - 경영․회계․사무

 다. 직업상담사1급 - 사회복지․종교                          라. 어로산업기사 - 농림어업

[정답과 해설] 나


43. 질문지를 활용한 면접조사를 통해 직업정보를 수집할 때 면접자가 지켜야 할 일반적 원칙으로 틀린 것은?

 가. 질문지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나. 응답자와 친숙한 분위기를 형성해야 한다.

 다. 개방형 질문인 경우에는 응답내용을 해석하고 요약하여 기록해야 한다.

 라. 면접자는 응답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복장이나 언어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정답과 해설] 다


44. 워크넷 구인구직 통계현황에서 특정년도의 신규구인인원 130만명, 신규구직자수 200만명, 취업건수가 68만건 일 때, (A)구인배율과 (B)취업률(%)은?

 가. A : 0.55, B : 29.0              나. A : 0.65, B : 34.0                 다. A : 0.55, B : 34.0                   라. A : 0.65, B : 29.0

[정답과 해설] 나


45. 한국직업정보시스템(워크넷/직업진로)에서 제공하는 학과정보 중 공학계열에 해당하는 학과가 아닌 것은?

 가. 식품생명공학과               나. 건축학과                        다. 안경광학과                   라. 카메카트로닉스학과

[정답과 해설] 가


46. 공공직업정보와 비교한 민간직업정보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필요한 시기에 최대한 활용되도록 한시적이고 신속하게 생산되어 운영된다.

 나.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객관적인 기준에 근거하여 직업을 분류한다.

 다. 특정한 목적에 맞게 해당분야 및 직종을 제한적으로 선택한다.

 라. 시사적인 관심이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해당 직업을 분류한다.

[정답과 해설] 나


47. 한국직업사전에서 제공하는 부가직업정보 중 작업강도의 ‘보통 작업’의 정의로 옳은 것은?

 가. 최고 10kg의 물건을 들어올리고 15kg정도의 물건을 빈번히 들어올리거나 운반한다.

 나. 최고 15kg의 물건을 들어올리고 20kg정도의 물건을 빈번히 들어올리거나 운반한다.

 다. 최고 20kg의 물건을 들어올리고 10kg정도의 물건을 빈번히 들어올리거나 운반한다.

 라. 40kg의 이상의 물건을 들어올리고 20kg이상의 물건을 빈번히 들어올리거나 운반한다.

[정답과 해설] 다


48. 직업정보 분석시 유의점으로 틀린 것은?

 가. 전문적인 시각에서 분석한다.

 나. 직업정보원과 제공원에 대해 제시한다.

 다. 동일한 정보에 대해서는 한 가지 측면으로 분석한다.

 라. 원자료의 생산일, 자료표집방법, 대상 등을 검토해야 한다.

[정답과 해설] 다


49. 직업 관련 주요정보망과 운영기관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A. 직업능력지식포털(HRD-Net)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B. 민간자격정보서비스(pqi) - 한국고용정보원

C. 해외취업정보서비스(WORLD JOB) - 한국산업인력공단

가. A                             나. B                          다. C                         라. A, B, C

[정답과 해설] 다 


50. 한국직업정보시스템(워크넷/직업진로)에서 백분위 점수의 중요도 형태로 제공되지 않는 정보는?

 가. 평균임금                  나. 직업가치관            다. 업무수행능력            라. 성격

[정답과 해설] 가


51. 다음 중 직업의 성립요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 계속성                   나. 윤리성                   다. 사회성                     라. 동일성

[정답과 해설] 라


52. 건설기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승강기기사 자격이 공통으로 해당되는 직무분야는?

 가. 건설분야               나. 재료분야                 다. 기계분야                 라. 안전관리분야

[정답과 해설] 다


53. 한국표준산업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산업활동의 범위에는 영리적․비영리적 활동과 가정내의 가사 활동을 모두 포함한다.

 나. 산업분류는 생산단위가 주로 수행하고 있는 산업활동을 그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 한 것이다.

 다. 동일단위에서 제조한 재화의 소매활동은 별개 활동으로 파악되지 않고 제조활동으로 분류되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라. 중분류의 번호는 01부터 99가지 부여하였다.

[정답과 해설] 가


54. Q-net(www.q-net.or.kr)에서 제공하는 국가별 자격제도 정보가 아닌 것은?

 가. 영국의 자격제도        나. 프랑스의 자격제도           다. 호주의 자격제도            라. 스위스의 자격제도

[정답과 해설] 라


55. 다음 고용정보에 관한 분석으로 틀린 것은?


 가. 남자의 경우 3개월 미만 실직기간 비중이 가장 높음

 나. 연령별로는 30대 이상에서 1년 이상 장기 실업 비중이 높음

 다. 10~20대의 경우 3개월 미만의 실직기간 비중이 타 연령층에 비해 높음

 라. 학력별로는 전무대졸의 경우 1년 이상 장기 실업 비중이 타 학력층에 비해 높음

[정답과 해설] 라


56. 평생학습계좌제(www.all.go.kr)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개인의 다양한 학습경험을 온라인 학습이력관리시스템에 기록 • 누적하여 체계적인 학습설계를 지원한다.

 나. 개인의 학습결과를 학력이나 자격인정과 연계하거나 고용정보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다. 평생학습계좌제 개설대상은 전 국민으로 한다.

 라. 온라인으로 계좌개설이 가능하며 방문신청은 전국 고용센터에 방문하여 개설한다.

[정답과 해설] 라


57. 한국직업전망의 수록직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한국고용직업분류(KECO)에 근거하여 종사자 수가 일정규모 이상이거나 청소년 및 구직자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는 직업들을 우선으로 선정하였다.

 나. 재직자의 경력개발을 위해 승진이나 장기간의 경력개발을 통해 진입하게 되는 관리직에 해당하는 직업군을 최대화 하였다.

 다. 이용자들이 원하는 직업정보를 쉽고 간편하게 찾아볼 수 있도록 수록직업을 16개 분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라. 직무가 유사하거나 일반인의 관심이 낮은 직업들 포괄적인 하나의 직업으로 통합하였다.

[정답과 해설] 나


58. 단계별 일자리지원 프로그램인 취업성공패키지 사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일정 소득수준 이하의 저소득층의 취업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통합적인 취업지원제도이다.

 나. 차상위층까지를 정책대상으로 하는 자활사업이나 근로장려세제와 정책대상의 범위에 있어 동일하다.

 다. 지원대상자의 개인별 취업역량 등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토대로 최장 1년의 기간 내에서 단계별로 통합적인 취업지원을 실시한다.

 라. 일정 요건을 충족한 신청자에게는 실비, 생계유지수당, 취업성공수당을 지급한다.

[정답과 해설] 나


59. 기술기초이론 지식 또는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복합적인 기초기술 및 기능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은?

 가. 기능장                        나. 기사                         다. 산업기사                    라. 기능사

[정답과 해설] 다


60.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산업분류 적용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생산단위는 투입물과 생산공정을 제외한 산출물을 고려하여 그들의 활동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된 항목에 분류해야 한다.

 나. 복합적인 활동단위는 우선적으로 최상급 분류단계를 정확히 결정하고, 순차적으로 중, 소, 세, 세세분류단계 항목을 결정하여야 한다.

 다. 산업활동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활동단위의 주된 활동에 따라서 분류하여야 한다.

 라. 수수료 또는 계약에 의하여 활동을 수행하는 단위는 자기계정과 자기책임 하에서 생산하는 단위와 동일항목에 분류되어야 한다.

[정답과 해설]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