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기출문제(풀이)

직업정보론

상담사 이우 2013. 3. 17. 05:31

[제3과목 직업정보론]

 

41. 다음 중 ‘고용’을 주제로 하는 통계가 아닌 것은?

가. 경제활동인구조사

나. 기업체노동비용조사

다. 정보통신부문인력동향실태조사

라. 사업체기간제근로자현황조사

 

42. 국가기술자격 기사의 응시자격기준으로 틀린 것은?

가. 기능사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나.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다. 응시하려는 종목과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라.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직무 분야에서 4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43. 2012년도 계좌제 적합훈련과정 중 훈련비의 100분의45를 자비로 부담해야하는 직종은?

가. 제품디자이너   나. 패션디자이너   다. 이용사   라. 회계 및 경리사무원

 

44. 한국직업전망의 구성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적성과 흥미는 해당 직업에 종사하는데 유리한 성격, 흥미 , 적성 등을 수록하였다.

나. 전공분포와 연령분포, 학력수준은 백분율로 제시하였다.

다. 수입은 해당 직업종사자의 월평균 임금, 상위25% 등 2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라. 직업전망은 향후 5년간의 고용전망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45. 한국표준직업분류상 다음 개념에 해당하는 대분류는?

주로 간단한 수공구의 사용과 단순하고 일상적이며, 어떤 경우에는 상당한 육체적 노력이 요구되고, 거의 제한된 창의와 판단만을 필요로 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몇 시간 혹은 몇 십 분의 직무 훈련(on the job training)으로 업무수행이 충분히 가능한 직업이 대부분이다. 직능수준이 낮으므로 내부에서의 직업이동은 상대적 매우 용이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가. 단순노무 종사자                  나. 장치 · 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다.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라. 판매 종사자

 

46.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한국직업정보시스템(워크넷/직업·진로)에서 직업의 전망조건을 ‘매우밝음’으로 선택하여 직업정보를 검색하면 직업전망이 상위 ( )이상인 직업만 검색된다.

가. 10%            나. 15%            다. 20%             라. 25%

 

47. 한국표준직업분류의 개념과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가. 수입(경제활동)을 위해 개인이 하고 있는 일을 그 수행되는 일의 형태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 한 직업분류를 우리나라 직업구조 및 실태에 맞도록 표준화한 것이다.

나. 주어진 직무의 업무와 과업을 수행하는 능력인 직능(skill)을 근거로 제시되었다.

다.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지식의 분야, 사용하는 도구 및 장비, 투입되는 원재료, 생산된 재화나 서비스의 종류와 관련된 직능수준skill level)을 고려한다.

라. 직무 유사성의 기준에는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지식, 경험, 기능(skill)

과 함께 직무수행자가 입직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건(skill requirements)등이 있다.

 

48. 직업능력개발훈련의 훈련기간 및 훈련시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훈련기간은 1개월 이상 1년 이하로 하되 훈련시간은 60시간 이상으로 하는 것이 원칙 이다.

나. 강의시간 운영은 주·야간 과정 모두 50분 강의, 10분 휴식을 원칙으로 한다.

다. 사회복지시설 등에 봉사활동을 겸한 현장훈련과 사전설명회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해당 시간을 훈련시간에 포함한다.

라. 훈련개시 후 해당훈련과정에 중간편입하거나 다른 훈련 과정으로 변경할 수 없다.

 

49. 고용정보의 가공·분석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가. 변화 동향에 유의할 것

나. 숫자로 표현할 수 없는 정보는 배제할 것

다. 정보의 가공 및 분석목적을 명확히 할 것

라. 다른 통계와의 관련성 및 여러 측면을 고려할 것

 

50. 한국표준산업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산업 활동의 범위에는 영리적,비영리적 활동 및 가정내의 가사활동 등을 모두 포함한다.

나. 한국표준산업분류는 통계목적 이외에도 일반 행정 및 산업정책관련 법령에서 적용대상 산업영역을 한정하는 기준으로 준용되고 있다.

다. 산업분류는 산출물·투입물의 특성, 생산활동의 일반적인 결합형태와 같은 기준에 의하여 분류된다.

라. 사업체 단위는 공장, 광산, 상점, 사무소 등으로 산업활동과 지리적 장소의 양면에서 가장 동질성이 있는 통계단위이다.

 

51. 다음은 무엇에 관한 정의인가? 

유사한 성질을 갖는 산업 활동에 주로 종사하는 생산단위의 총 집합

가. 직업           나. 산업          다. 일(task)            라. 요소작업

 

52. 한국직업사전의 부가직업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정규교육     나. 숙련기간        다. 직무개요         라.직업강도

 

53. 다음 중 직업능력개발정책 방향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가. 근로자의 평생능력개발 체제구축           나. 직업훈련의 질적 제고

다. 정부주도 직업능력개발 강화                라. 공공훈련의 효율성 제고 및 내실화

 

54. 한국직업사전에서 ‘정책을 수립하거나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생각이나 정보, 의견 등을 교환한다’ 가 관련되는 직무기능은?

가. 자료        나. 사람           다. 사물          라. 조정

 

55. 직업정보의 가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가. 효율적인 정보제공을 위해 시각적 효과를 부가한다.

나.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강구하는 단계이다.

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긍정적이라는 입장에서 출발해야 한다.

라. 정보의 생명력을 측정하여 활용방법을 선정하고 이용자에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56. 응용지질기사, 조경기사, 지적기사 자격이 공통으로 해당되는 직무분야는?

가. 건설분야     나. 환경·에너지분야         다. 도배기능사           라. 방수기능사

 

57. 고용센터의 고용안정사업에 해당되는 것은?

가. 집단상담프로그램을 통한 취업능력배양        나. 근로자수강지원금자원

다. 직장보유시설운영비 지원                        라. 구직자 취업지원서비스

 

58. 실기능력이 중요하여 고용노동부령이 정하는 필기시험이 면제되는 기능사 종목이 아닌 것은?

가. 정보처리기능사    나. 도화기능사           다. 도배기능사           라. 방수기능사

 

59. 한국고용직업분류(KECO)의 중분류 명칭으로 옳은 것은?

가. 의료 및 사회복지 관련직            나. 음식 및 식품가공 관련직

다. 경비 및 청소 관련직                 라. 운송 및 기계관련직

 

60. 2012년 3월 워크넷 구인·구직 및 취업동향에서 신규구인인원은 100명, 신규구직자 수는 300명이고 취업률은 50% 이라면 취업건수는?

가. 25         나. 50           다. 100             라. 150

 

[정답] 41 나 42 가 43 라 44 다 45 가 46 가 47 다 48 라 48 나 49 나 50 가 51 나 52 다 53 다 54 나
55 다 56 가 57 다 58 가 59 다 60 라

'직업상담사 2급 >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동관계법규  (0) 2013.03.17
노동시장론  (0) 2013.03.17
직업심리학  (0) 2013.03.17
직업상담학 기출문제  (0) 2012.08.10
2012년 직업상담사2급 작업형 문제 [4.22시행]  (0) 2012.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