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기출문제(풀이)

노동시장론

상담사 이우 2013. 3. 17. 05:38

[노동시장론]

61. 다음 중 기업별 노동조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기업별 노동조합은 노동자들의 횡단적 연대가 뚜렷하지 않고, 동종·동일산업이라도 기업 간의 시설규모, 지불능력의 차이가 큰 곳에서 조직된다.

나. 기업별 노동조합은 노동조합이 회사의 사정에 정통하여 무리한 요구로 인한 노사분규의 가능성이 낮다.

다. 기업별 노동조합은 사용자와의 밀접한 관계로 공동체의식을 통한 노사협력 관계를 유지할 수 있어 어용화의 가능성이 낮다.

라. 기업별 노동조합은 각 직종간의 구체적 요구조건을 공평하게 처리하기 곤란하여 직종 간에 반목과 대립이 발생할 수 있다.

 

62. 개인의 가용시간이 일정할 때 작업장까지의 통근시간 증가가 경제활동참가율과 총 근로시간에 미치는 효과로 옳은 것은?

가. 경제활동참가율 증가 , 총 근로시간 증가

나. 경제활동참가율 감소 , 총 근로시간 증가

다. 경제활동참가율 증가 , 총 근로시간 감소

다. 경제활동참가율 감소 , 총 근로시간 감소

 

63. 노동력의 10%가 매년 구직활동을 하고 구직에 평균 3개월이 소요되는 경우 이 이유만으로 연간 몇 %의 실업률이 나타나게 되는가?

가. 2.5%        나. 약 2.7%          다. 3.0%            라. 약 3.3%

 

64.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이는 요인이 아닌 것은?

가. 가사노동 대체 비용의 하락

나. 남편의 소득 증가

다. 출산율 저하

라. 시간제근무 기회 확대

 

65. 기업이 인력운영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채택하는 인적자원관리정책이 아닌 것은?

가. 성과급제와 연봉제의 도입

나. 정규직 중심의 인력채용

다. 사내직업훈련의 강화

라. 고용형태의 다양화

 

66. 다음 중 직무급 임금체계의 장점이 아닌 것은?

가. 개인별 임금격차에 대한 불만 해소        나. 연공급에 비해 실시가 용이

다. 인건비의 효율적 관리                       라. 능력위주의 인사풍토 조성

 

67. 다음 표에서 실업률은?

총인구

생산가능인구

취업자

실업자

100만명

60만명

36만명

4만명

가. 4.0%         나. 6.7%            다. 10.0%           라. 12.5%

 

68. 임금이 하방경직적인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장기노동계약                 나. 물가의 지속적 상승

다. 강력한 노동조합의 존재    라. 노동자의 역선택 발생 가능성

 

69. 다음 중 기업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장기 노동수요를 감소시켜야 하는 경우는?

가. 1원당 노동의 한계생산이 1원당 자본의 한계생산보다 작을 경우

나. 1원당 노동의 한계생산이 1원당 자본의 한계생산과 일치할 경우

다. 노동의 한계생산물가치가 명목임금보다 클 경우

라. 노동의 한계생산량이 실질임금보다 클 경우

 

70. 임금이 노동자 및 그 가족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에서 결정되어야 한다는 이론은?

가. 노동가치설       나. 임금기금설           다. 임금생존비설               라. 한계생산력설

 

71. 기업이 노동자를 채용할 때에는 조합원이 아닌 노동자를 채용할 수 있지만, 노동조합원 신분을 유지해야 고용이 지속되도록 한 제도는?

가. 오픈숍(open shop)              나. 유니온숍(union shop)

다. 클로즈드숍(closed shop)        라. 오픈-클로즈드숍(open-closed shop)

 

72. 경제학자 spencer는 고학력자의 임금이 높은 것은 교육이 생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생산성이 높다는 것을 교육을 통해 보여주는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했는데 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가. 인적자본 이론                      나. 혼잡가설

다. 고학력자의 맹목적 우대          라. 교육의 신호모형

 

73. 다음 Hicks의 교섭모형과 기대파업기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가. B에서의 우하향 곡선이 노동조합의 저항곡선이다.

나. So 기간의 파업을 통해 교차점에 도달했으며 이때 결정된 임금률이 Wo로 됨을 보여준다

다. 사용자는 노동조합이 0Wo보다 더 높은 임금을 요구하면 파업을 두려워하여 그 요구를 수용할 것이다.

라. 노사가 So에서 파업을 중단하는 것이 이익이 된다는 것을 안다면 Wo 임금수준에서 교섭을 타결할 것이다.

 

74. 어느 지역의 노동공급상태를 조사해 본 결과 시간당 임금이 3000원일 때 노동공급량은 270이었고, 임금이 5000원으로 상승했을 때 노동공급량은 540이었다. 이 때 노동공급의 탄력성은?

가. 1.28           나. 1.50            다. 1.00          라. 0.82

 

75. 다음 중 구조적 실업에 대한 대책이 아닌 것은?

가. 경기활성화                            나. 직업전환교육

다. 이주에 대한 보조금                  라. 산업구조변화 예측에 따른 인력수급정책

 

76.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0%이고 실업률 20%일 때,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가. 12%           나. 48%            다. 56%         라. 86%

 

77.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한국의 노동시장에 나타난 변화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비정규직 노동의 증가               나. 노동조합 조직률의 상승

다. 노동시장 유연화 진행               라. 대량실업

 

78. 노동수요곡선을 이동(shift)시키는 요인이 아닌 것은?

가. 임금의 변화                         나. 생산성의 변화

다. 제품 생산 기술의 발전            다. 최종상품에 대한 수요의 변화

 

79. 다음 중 가장 적극적인 근로자의 경영참가형태는?

가. 단체교섭에 의한 참가                 나. 단체행동에 의한 참가

다. 노사협의회에 의한 참가              라. 근로자중역, 감사역제에 의한 참가

 

80. 내부노동시장의 형성요인이 아닌 것은?

가. 관습            나. 현장훈련            다. 임금수준           라. 숙련의 특수성

 

[정답] 61 다 62 라 63 가 64 나 65 나 67 다 68 나 69 가 70 다 71 나 72 라 73 다 74 나 75 가 76 나 77 나 78 가 79 라 80 다

 

'직업상담사 2급 >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기시험 기출문제   (0) 2013.03.17
노동관계법규  (0) 2013.03.17
직업정보론  (0) 2013.03.17
직업심리학  (0) 2013.03.17
직업상담학 기출문제  (0) 2012.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