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한국직업사전
1. 한국직업사전의 개념 및 수록 내용
[기출]
[2003년 1회] 직업사전의 직업기술의 구성요소 7가지를 작성하시오.(개정전 문제임) [2007년 1회] 한국직업사전의 부가직업정보 중 작업강도는 해당 직업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육체적 힘의 강도를 나타낸 것으로 5단계로 분류하였다. 이 5단계를 쓰시오.(단, 순서는 상관없음) [2007년 3회] 한국직업사전(2003)에 수록된 부가직업정보 중 6가지를 쓰시오. [2008년 1회] 한국직업사전의 부가직업 정보 중 정규교육, 숙련기간, 직무기능의 의미를 기술하시오. [2009년 1회] 한국 직업사전에 수록된 부가직업정보를 6가지만 쓰시오. [2008년 3회] 한국직업사전에서는 각 직업에 대한 부가직업정보를 제공한다. 부가직업정보 중에서 직무기능(DPT)에 대해 설명하시오. [2009년 3회] 한국직업사전(2009)의 부가직업정보 중 작업환경을 나타내는 ‘위험내재’는 작업자가 제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지 결정한다. 제반 위험의 종류를 5가지 쓰시오. [2010년 1회] 한국직업사전(2009)에 수록된 부가직업정보 6가지를 쓰시오. |
[해설]
○ 한국직업사전: 변동·생성·소멸하는 직업세계를 체계적으로 조사·분석하여 표준직업명 제정과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직업정보 제공을 위해 제작되었다. 이러한 한국직업사전은 일반인의 취업 및 진로선택을 위한 기초자료, 직업분류체계의 개발과 기타 직업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그리고 정부의 노동정책 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한국직업사전 구성항목
『한국직업사전』에 수록된 직업들은 직무분석을 바탕으로 조사된 정보들로서 수많은 일을 조직화된 방식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유사한 직무를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다. 『한국직업사전』에서 수록하고 있는 정보는 전국적인 사업체에서 유사한 직무가 어떻게 수행되는가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분석·연구의 결과이다. 수록된 직업 관련 정보들은 크게 다섯 가지의 체계적인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① 직업코드
② 본 직업명칭
③ 직무개요
④ 수행직무
⑤ 부가직업정보(산업분류, 정규교육, 숙련기간, 직무기능, 작업강도, 육체활동, 작업장소, 작업환경, 유사명칭, 관련직업, 자격/면허, 조사연도)
○ 한국직업사전 수록 주요 내용
직무조사내용 | |
직무기술 |
직무 담당자와 면담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사업장에서 수행되는 단위 직무를 직무분석기법을 이용해 정보 취득(질적 데이터) |
표준직무 |
여러 사업장을 조사한 후 각 사업장에서 수행하는 직무를 표준화 |
정규교육 |
해당 직업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일반적인 정규교육수준을 의미 |
숙력 기간 |
통상적인 정규교육과정을 졸업 및 수료한 이후, 해당직무를 평균적인 수준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각종 교육과 훈련기간 |
작업강도 및 육체활동 |
직무 수행자가 해당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힘의 강도와 작업조건에 따른 신체적 제반 동작 |
작업장소 및 작업환경 |
해당직무를 수행하는 작업원에게 직접적으로 물리적, 신체적 영향을 미치는 작업장의 환경요인 |
필요한 자격과 면허 |
해당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격이나 면허, 그리고 소지할 경우 취업시 유리한 국가에서 공인하는 자격증이나 면허증 |
작업자 기능 (DPT) |
작업자 기능(DPT)은 해당직무를 수행하는 작업자가 자료(data), 사람(people), 사물(thing)과 맺는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직무분석 시 작업과 근로자의 기능 관계 |
조사자의 의견 |
일반교육수준, 훈련과 숙련, 육체적 활동, 작업장 환경, 그리고 자격과면허 요건 이외에 이 직무의 수행에 중요한 요인이나 작업자 요건을 기록 |
조사연도 |
해당직업을 최종적으로 조사해서 직업사전에 수록한 연도 |
'직업상담사 2급 > 기초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분류의 목적 (0) | 2011.09.01 |
---|---|
[직업정보론] 한국직업사전의 구성 (0) | 2011.09.01 |
[직업정보론] 직업활동의 요건 (0) | 2011.08.29 |
[직업정보론]직업정보 수집과정 및 직업안정기관 ․ 고용정보시스템 (0) | 2011.08.29 |
[직업정보론] Andrus의 정보의 가치에 대한 효용이론 (0) | 2011.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