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과 심리검사의 활용
직업장면에서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심리검사를 직업심리검사라고 정의한다면 주로 청소년이나 성인을 대상으로 직업과 관련된 구체적인 의사결정에 요긴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주 기능이 될 것이다. 따라서 직업심리검사는 개인의 인지, 정의, 신체적 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그 결과를 이해하기 쉽도록 압축하여 직업관련 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1. 여러 가지 측정 유형
경력개발 프로그램과 상담에서 활용되는 측정절차는 객관적 측정, 질적 측정, 임상적 측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질적 측정도구에는 자기 효능감 척도(self-efficady), 역할극, 제노그램(genogram), 카드분류 등이 있다.
+ 객관적 측정도구에는 욕구 및 근로가치 설문(예, 미네소타 욕구중요도검사(MIQ), 가치관검사(VS), 가치중요도검사(SD)), 흥미검사(예, 스트롱 직업흥미검사, Holland의 자기탐색검사, 경력선호검사(COPS), 자기흥미탐색검상(SDS), 경력의사결정검사(CDM), 직업흥미검사, 직업선호도검사), 적성검사, 경력진단검사 등이 있다.
* MIQ는 근로자의 만족의 원천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20개의 근로자욕구(능력 활용, 성취, 향상욕구, 권위, 정책 수립, 보상, 협동, 창의성, 독립성, 도덕적 가치, 인정, 책임, 안전, 사회봉사, 사회적 지위, 부하 감독, 기술, 다양성, 작업조건)와 6개 가치요인(성취, 이타, 자율, 안락, 안전, 지위 타당성)을 측정한다.
2. 측정도구의 선정
직업상담가를 포함한 검사활용자는 선정된 측정도구의 활용절차 및 기법에 정통해야 하고, 측정도구 선정시 내담자의 복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며, 측정도구를 적용하기 전에 집단 특성 문제를 반드시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1) 기술적 측면
일반적으로 직업과 관련된 경력계획 수립시 중요한 문제는 중단기적 미래의 업무성과나 만족 등에 관한 예언의 정확성 여부가 되기 때문에 재검사 신뢰도가 많이 선호된다. 만약 검사가 개략적 선발이나 배치에 관한 의사결정에 활용된다면 예언타당도가 최상일 것이고, 내담자의 자기 이해 촉진이 목적이라면 구인타당도가 더 중요할 것이다.
(2) 성과 문화 편파
내담자의 성이나 문화에 대한 편파는 직업과 관련된 상담장면에서 광범위하게 제기되어 온 문제이다. 그러므로 상담가들은 검사를 비차별적으로 활용하려고 늘 최선을 다해야 한다. 특히 저학력자나 저소득 계층, 여성 등과 같은 직업과 관련된 사회적 소수집단의 경우 검사제작자나 활용자들은 사전에 검사 내용에 관하여 충분히 숙고해 보아야 할 뿐 아니라 피검사자 집단의 인구사회학적, 생활사적 특성에 관해서도 충분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3. 검사결과의 해석
Tinsley와 Brandley는 결과 해석의 4단계를 제시하였다. ① 해석준비기로 내담자가 검사 자체와 점수 의미에 관하여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지, 내담자의 교육, 가정환경 등 중요한 관련 정보와 검사결과의 의미가 어떻게 통합되는지 잘 알고 있는지 등을 심사숙고해보고, 두 개 이상의 검사를 해석할 때는 그 제시 순서나 해석 흐름을 간략하게 미리 생각해보는 단계이다. ② 내담자가 검사 결과 해석을 듣고 받아들이도록 준비시키는 것이다. ③ 정보를 실제로 전달하는 단계로 상담가는 측정의 목적을 마음에 다시 한번 새기고, 단순히 점수만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측정오차 문제를 설명해 주고, 어려운 용어를 삼가며, 검사결과에 대하여 내담자가 솔직하게 반응하도록 격려해 주어야 한다. ④ 상담가는 추후활동을 통하여 상담결과에 대한 의견을 같이 나누고, 내담자가 결과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확인하며, 그들이 검사를 통해 알게 된 내용들과 그 외의 도구 활용 결과나 관련 자료들을 잘 통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직업상담사 2급 > 심화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nfield의 학습양식검사 (0) | 2013.04.21 |
---|---|
Kolb의 학습유형 (0) | 2013.04.21 |
직업상담에 필요한 기초상담이론 정리 (0) | 2013.04.15 |
직업분류체계 (0) | 2013.04.14 |
직업상담의 목적 (0) | 2013.03.26 |